안녕하세요. 보이드입니다. 저번 강좌를 보셨으면 아실테지만, 이번 강좌부터는 전문적으로 양봉에 들어가기 시작할 겁니다. 잡다한 기계가 나오고, 필요한것도 많아지고 귀찮은일도 자주 생길겁니다. 이걸 하다보면 다른 일에 할당할 시간이 부족해질지도 몰라요.

게다가 이 강좌부터 나오는 관련기계는 오직 양봉에 필요한 용도만을 알려드릴 겁니다. 기계의 다른 용도는 그런게 있다~식으로 말하고 넘어갈거에요. (물론 기계설명 강좌에선 제대로 모두 설명해 드릴겁니다.)

그거 상관없어, 라고 생각하신다면, 잘 오셨습니다!

4-1, 전문 양봉으로의 첫걸음, 시작합니다!

       4-1.전문 양봉으로의 첫걸음. (아피아에리 만들기)

이 강좌는 송살서버의 모드버전에 맞춰 작성됩니다.

전문적인 양봉, 뭘까요? 우린 이미 벌을 키우고 있고, 그 부산물도 얻을수있는 능력을 갖추었는데 아직 양봉을 제대로 한게 아니라고 합니다. 양봉이 벌만 키우면 됐지 무슨? 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의외로 포레스트리와 매직비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가 제공하는 양봉은 굉장히 세밀하게 짜여있습니다. 양봉의 최종, 그 정점에 올라서게 되면

광물을 부산물로 생산하는 벌을 기를수 있고, 벌의 유전자를 조작해서 현재 기후에 맞게바꿔 기후에 상관없이 일하게 하거나 집안에서,혹은 밤에도 일하게 하고, 가까이 가면 체력이 재생되거나 석유나 정제유를 생산하여 집의 전력을 책임지는 벌들을 기르게 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 몬스터가 생산되는 벌로 테러를 할수 있습니다. 가스트 벌이라던지

4번째 강좌에서는 비하우스보다 더 제대로 된 상위 등급 양봉기를 제작하는 과정,그리고 ㄱ 사용법을 알려드릴 겁니다.

우선, 저희에겐 다양한 포레스트리 기계가 필요합니다.

우선, 이 스퀴저 (Squeezer) 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상위 등급 양봉기, 그러니까 아피아에리와 알베어리부터는 더 다양하고 구하기 어려운 재료가 많이 들어갑니다. 특히 알베어리는 아피아에리로 적어도 두 종류의 벌, 그러니까 임페리얼과 인더스트리우스 벌의 부산물에서만 얻을수 있는 재료가 들어가기도 하는데요. 그 부품중 특별한 부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스퀴저가 필요합니다. 아참, 씨앗이 많이 필요합니다. 농사를 해두세요. 넉넉히 3셋 정도면 되실겁니다.

자, 먼저 이 스퀴저의 조합법을 보시죠.

저 가운데 있는건 저번 강좌에 나왔던 Sturdy Casing입니다. 그 외에도 유리 두개, 주석주괴 6개가 들어가네요. 조합을 끝내셨다면, 한번 열어봐야죠?

이게 스퀴저의 UI입니다. 이름으로 아시다시피 스퀴저는 무언가를 짜내는 기계입니다. 머리가 좋으시다면 저희가 씨앗을 짜야 한다는걸 미리 눈치채셨을겁니다. 물론 전 머리에 화약밖에 안들어있어서 왼쪽의 9칸은 짤 물건들을 넣어두는것이고, 화살표를 거쳐서 무언가 부산물이 아이템으로 나와야 한다면 오른쪽 위의 한칸으로 나오고, 없다면 모두 액체가 되어 화살표 중간의 물통같이 생긴 저장공간에 차게 됩니다. 저 저장공간은 눈금당 1000mb, 다해서 10000mb 입니다. 참고로 1000mb당 1양동이 입니다.

그 아래의 (기억력 좋으신분은 아시겠지만) 왁스캡슐 모양 칸은, 짜낸 액체를 보관할 용감한용기를 넣어두는 칸입니다. 1000mb이 차면 액체를 자동으로 포장해서 용기 넣는칸의 오른쪽 칸으로 보냅니다. 당연히 한번 보시면 이해가 가시겠죠.

자 이렇게 옆에 클락워크 엔진을 놓고

끝까지 감아서 전기를 공급해줍시다. 저는 강좌라는 사정상 이 사진을 찍은 후 옆에 레드스톤 에너지 셀을 놓아서 전기를 공급했습니다.

씨앗넣는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씨앗을 넣으니 전력을 소모하면서 화살표가 차오릅니다. 여기서 한참(...)을 기다리시면

이렇게, 씨앗기름이 찬게 보이시나요? 저흰 이게 필요하니, 왁스캡슐이나 셀, 양동이, 또는 캔을 집어넣어 줍시다. 전 왁스캡슐을 사용했습니다. 대략 저정도 차는데 서버에서 씨앗을 2셋 넘게 넣었던 기억이 나네요. pbt의 광속 물뿌리개질로 많은 씨앗을 얻었던것 같습니다. 물뿌리개 관련 질문은 나중에 엑스트라 유틸리티를 작성할 yes 에게 물어보세요.강좌 떠넘김

자, 이렇게 포장된 씨앗기름을 얻으실수 있습니다. 씨앗기름은 다음 강좌에서 나올 카펜터에 들어가게 됩니다. 나무좀 캐두세요. 씨앗기름 버리지 마시고. 참고로 씨앗기름을 얻을때 사용하는 씨앗은 밀 씨앗, 호박씨, 수박씨, 심지어 하베스트에서 추가하는 씨앗까지 사용하실수 있으며, 호두나무의 호두에서 많은 기름을 얻으실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이드 였습니다!

(시간이 없네요. 사실 전 하루에 한시간밖에 못하는지라 키보드 소리를 죽여가며 쓰고있습니다. 평소처럼 쓰려면 40분은 간단히 넘겨서 짧게 쓸수밖에 없었습니다. 살려주세요) 더하려면 공부의 노예가 되거라 -부모님-,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 pbt

Posted by 송살
,

 

ANG녕하세요 yes입니다. 입고있는 복장은 팅커스와 전혀 별개의 사움크래프트복장입니다.강좌는 십년후에 곧 보실수 있을겁니다.

이번강좌는 등짝을보자도구를 만들어 보자입니다.

도구를 만드려면 제가 밟고 있는 것들을 만들어야합니다. 조합법보고가죠.

 툴 스테이션(tool station)입니다.  부품을 모두 합쳐서 완성할 때 씁니다.

파트빌더(part builder)입니다. 패턴을 이용하여 부품을 만듭니다.

스텐실 테이블(stencil table)입니다. 패턴을 만듭니다.

패턴 체스트(pattern chest)입니다. 패턴을 저장합니다.

저 조합에 들어가는 네모네모난 나무같은건 패턴이라고 합니다. 정확히는 빈 패턴이죠.

 조합법입니다. 20~30개정도 만들면 다 쓰고도 남을 듯 합니다.

참고로 스텐실테이블과 파트 빌더는 재료의 텍스쳐를 따옵니다.

기본 마크의 원목과 판자에 한해서 말이죠.

 

 이렇다는 겁니다. 인테리어까지 신경쓰실거면 참고하세요.

그럼 본격적으로 도구를 만들어보죠.  빈 패턴을 만들어서 스텐실 테이블로 가세요.

 요런게 나옵니다. 저기에 빈 패턴을 넣고 NEXT PATTERN을 누르세요.

 그러면 저렇게 뭔가가 나와요. 이번엔 곡괭이를 만들거라 tool rod, tool binding, pickaxe head패턴을 만들겁니다. 만들고나면 파트빌더로 갑시다.

 근처에 패턴체스트를 놓으셨다면 저렇게 옆칸에 공간이 생깁니다. 다른템 못넣고 저것만 가능해요. 그럼 전 짱센 다이아곡괭이를 만들어 볼겁니다. 딱봐도 왼쪽에 패턴넣고 오른쪽에 재료 넣게 생겼네요. 넣어봅시다.

 앙대! 왜 만들어지지 못하니! 네. 슬프게도 팅커스는 다이아를 재료로 쓰지 못하게 합니다. 일단 다이아는 짱박아 두세요. 아, 평지맵같은데 다이아는 어디서 구했냐고요? 근처에 마을이 있어서 삥뜯.....아닙니다. 하여간 그러면 철이라도 한번 해보죠.

 이건 왜안돼! 하지만 저 망할 yes가 철곡괭이 만들어 쓰는거 봤는데! 하시면 나중에 용광로 만들어서 하는겁니다. 콘피그에서 조정 가능하지만 제 주인님은 하드한 플레이를 좋아하시니까 저희섭은 불가능해요.

 아, 웬일로 부싯돌이 됩니다!그럼 만드세요!이야!!!

 뙇

 자 다른것도만들어보죠. 음? 저기 돌막대기 옆에  이상한건 뭘까요?

 돌조각이네요. 왜나왔을까요? 아까 곡괭이머리는 왜! 내부싯돌 앙대!

 왜냐하면 부품이 쓰는 재료의 수가 달라섭니다. 곡괭이 머리는 1개를 썻지만 나머지는 0.5개를 썻군요. 나중에는 재료를 8개까지먹는(!)괴랄한 부품도 있습니다. 아, 저런조각들은 0.5개처리됩니다. 짱박아뒀다가 쓰세요. 그럼 부품을 들고 마지막 툴스테이션으로 가져갑시다

 아 뭐가 더럽게 많네요. 모든걸 패스하고 저희는 저기 곡괭이처럼 생긴거 눌러보죠.

 아, 요런개 떴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중앙부근에 있는 곡괭이 누른 사람은 보이드와 동급이라고 생각하시고 분발하세요. 부품이 딱봐도 저 모양에 맞게 놓으면 될거같이 생겼잖습니까 넣어봐요

 오예!생겼습니다. 하지만 전 이 곡괭이를 저만의 곡괭이로 만들고 싶어요.

 저렇게 이름이 써진답니다. 한글패치가 되어있어서 한글도 완벽호환되요. 맘대로쓰세요

 

그래서 저는 짱센 곡괭이 만들었어요. 만세!

이걸로 강좌를 마칩니다

 

 

Posted by 송살
,

옙. 강좌안쓰고 배째고있던 yes가 이것도 강좌라고 쓰고 있네요
일단 팅커스컨스트럭트에 대해 말하자면 도구를 여러분의 마음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금,철,구리,주석,청동,강철,선인장,부싯돌,종이,thaumium,슬라임볼 등을 재료로 여러가지 도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거 지금 폰으로 쓰는거라 도구만드는건 조금있다가 쓸 수 있을 거 같군요.
여기도 이미지 추가할 수 있으면 수정하겠습니다.
도구를 만들게 되면 그 재료들의 효과가 붙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엔 그것에 대해 알아보죠.
종류에는 stonebound,reinforced,jagged,writable,thaumic이 있습니다.

Stonebound - 광질속도가 빨라지지만 데미지가 적게 들어갑니다.돌종류의 재료가 가지고 있습니다.(돌,부싯돌 등)

Reinforced - 레벨당 10% 확률로 내구도가 달지 않습니다.금속류의 재료가 가지고 있습니다.(철,금 등)

Jagged - 데미지가 많이 들어가지만 광질속도가 줄어듭니다. 선인장이 가지고 있습니다.

Writable - 종이가 가지고 있습니다.종이부품 하나 당 모디파이어 하나를 더 줍니다.

Thaumic - 사우미움(사움크래프트에 쓰는 놈입니다.)부품 하나에 모디파이어 하나를 주고, 최소 3개이상의 부품이 있으면 모디파이어 두개를 줍니다.삽이나 도끼같은 부품2개짜리는 전체를 이걸로 만들면 모디파이어 둘을 줍니다.

자 모디파디어란것을 모르실겁니다.
모디파이어는 추후에 도구에 부착시킬 수 있는 좋은 효과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여기서 강좌를 마치겠습니다.

Posted by 송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