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레스트리 2편!
가난한 우리의 친구! 클락워크 엔진.
이 강좌는 송살서버의 모드 버전에 맞춰 진행됩니다.
네 안녕하세요 보이드입니다. 저번 헛소리에서 미리 말했던대로 클락워크 엔진, 일명 테엽 엔진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해볼게요!
우선 클락워크 엔진의 모습입니다. 심플하게 생겼지만 금이 들어갈것처럼 생겼네요. 그리고 거의 모든 엔진과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습니다. 일단, 조합법은
이렇게 됩니다. 맨 윗줄에는 가공된 나무 세개를 아무거나 일렬로 놓으시면 됩니다. 시계와 유리,피스톤 하나는 알겠는데, 이상한 놈이 있군요. 저 톱니바퀴모양 아이템은 보통 엔진류에 많이 쓰이며, 기어(Gear)로 불립니다. 지금은 구리 기어(Copper gear)를 쓰는데, 조합법은 매우 심플합니다.
구리기어를 조합하려니,구리 네개 말고도 이상한 놈이 보이죠? 저 누가봐도 돌이 재료일거 같은 아이템은 돌 기어(Stone gear) 입니다.
이렇게 조합합니다. 가운데 있는 놈은 당연히 나무 기어(Wood gear) 입니다. 짐작하셨죠? 왠만한 기어들은 이렇게 업그레이드 형식으로 제작합니다. 나무 기어는
이렇게 만듭니다.
자 그럼 여러분이 제 강좌를 보시면서 하나쯤 클락워크 엔진을 장만하셨거나, 그럴 계획이라고 믿고 나가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알다시피 모든 발전기는 연료가 있어야합니다. 가끔 레드스톤 엔진같은 무한발전이지만 발전량이 영 좋지않은 것들은 제외하고, 태양열 발전기도 태양이 떠있어야 하고 수력도 물이 필요하며 바람도 약간의 고도가 필요 합니다. 레드스톤 엔진도 레드스톤 신호를 주어야 작동이 되죠.
그런데 왜 클락워크 엔진이 가난한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요?
그건 따로 연료가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엔진들과 달리, 클락워크 엔진은 유저가 손가락만 누르고 있으면 그걸로 발전합니다.연료는 당신의 손가락과 약간의 시간, 그리고 노동력이죠. 자 보시죠.
자, 클락워크 엔진 옆에 MJ를 저장하는 레드스톤 에너지 셀 (써멀 익스펜션에서 추가해 줍니다.)을 두었습니다.
보시다시피 이 에너지 셀에는 0MJ,즉 하나도 전기가 저장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럼 여기서 엔진을 우클릭으로 꾹 누르고 계시면
이렇게 꾹 누르고 계시면
점점 색깔이 변하면서 오이
노란색이 되었다가 파프리카
주황색으로 변한후 당근
붉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토마토 지금 보이는 새빨간 상태가 엔진이 끝까지 다 감겼다는 소립니다.여기서 계속 누르고 계시면 데미지를 입다가 죽습니다. 한번 해보니 갑옷없는 저는 한번에 3♥씩 달더군요. 속도가 빨라서 하마터면 죽을뻔 했습니다. 하여간 여기서 마우스를 엔진에서 떼주시면
엔진이 앞으로 왔다가
뒤로 가면서 이걸 반복함과 동시에 전력을 생산합니다.검열삭제를 생각하셨다면 이미 타락하신 겁니다. 앞뒤로 왔다갔다 하는거나 붉은색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생산하는건 거의 모든 엔진이 다 비슷합니다. 다른점이 있다면, 다른 엔진은 붉은색에서 폭발한단 겁니다. 조심해주세요. 하지만 클락워크엔진은 착해서 터지지 않아요.
하지만 일정시간, 즉 몇초 후가 지나면 점점 천천히 움직이다가 완전히 멈춰버리니 옆에서 중간중간 노동 엔진을 다시 감아주시면 됩니다.
원래 클락워크 엔진은 가난할때 전력난 극복을 위해 만든거라 발전량도 좋은편은 아니고 지속시간도 극단적으로 짧습니다. 나중에 돈 많아지시면 스팀엔진을 거쳐서 인더스트리얼 스팀엔진이나 컴버스쳔, 혹은 마그마틱으로 갈아타세요.
한번 끝까지 감아놓으면 멈출때까지 대략 이정도의 전력을 생산해냅니다. 결코 많은게 아니고 쓰다보면 용암에 빠진 스티브마냥 녹아버리는게 전력이니 쓸때마다 계속 감아주세요.
다음 강좌를 따라하시려면 아마 클락워크 엔진이나 다른 엔진류가 필요하실것 같습니다. 다음 강좌는 원심 분리기(Centrifuge)입니다. 이제 여러분이 모으신 콤을 쓰실수 있으실듯 하군요!
오늘은 시간좀 남았으니 뭐라도 좀 해야겠어요. 어차피 미리 강좌사진 찍어두면 시간 없겠지만.
'기술모드 > 포레스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 전문양봉으로의 입문, 그 마지막 걸음. (1) | 2013.11.12 |
---|---|
4-2.전문 양봉으로의 두번째 걸음. (0) | 2013.11.11 |
4-1.전문 양봉으로의 첫걸음. (1) | 2013.11.10 |
3. 콤에서 꿀을! 원심분리기 (0) | 2013.11.09 |
1.양봉의 기초, 그리고 양봉 맛보기! (Bee House) (1) | 2013.11.06 |